“전기차 사면 진짜 보조금 받나요?”
보조금이 줄었다는 뉴스, 들으셨죠?
하지만 여전히 국비 + 지방비 합쳐 최대 1,000만 원 이상 혜택을
받을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
2025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과 지역별 차이, 신청 꿀팁까지 모두
알려드릴게요.
1년 예산이 소진 되면 받지 못하는 전기차 보조금 아래 버튼을 통해 확인하고 손해 없이 전기차 구매하세요!
EV인프라 공식 홈 바로가기
전기차 보조금,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?
전기차 보조금은 크게 국고보조금과
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뉘며,
✅ 차량 가격, ✅ 주행거리, ✅
에너지 효율성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- 국고보조금: 산업통상자원부, 환경부 주관으로 전국 공통
- 지자체 보조금: 시/군/구에서 예산 편성, 지역별 차이 큼
- 총 보조금 = 국비 + 지방비 (차량별 상한선 존재)
2025년 전기차 국고보조금 기준 (승용차 기준)
구분 | 차량 가격 | 국고보조금 (최대) | 보조금 지급 조건 |
---|---|---|---|
100% 지급 | 5,700만 원 이하 | 최대 680만 원 | 주행거리 및 효율 우수 차량 |
50% 지급 | 5,700만 ~ 8,500만 원 | 약 300~340만 원 | 고급 모델 일부 지원 |
지원 제외 | 8,500만 원 초과 | 0원 | 고가 차량 제외됨 |
📌 차량 가격은 기본 차량가 기준 (옵션 제외)
📌 상용차, 화물차, 택시 등은 별도 기준 적용
지자체 전기차 보조금 2025년 최신 정리
지자체 보조금은 매년 1~3월 발표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.
일반적으로 도시보다 농촌 지역이 더 많은 금액을 지원하는
경우가 많습니다.
지역 | 지자체 보조금 | 총 보조금 (예상)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서울특별시 | 최대 250만 원 | 약 930만 원 | 혼잡통행료 감면도 가능 |
경기도 성남시 | 최대 280만 원 | 약 960만 원 | 조기 소진 주의 |
강원도 평창군 | 최대 400만 원 | 약 1,080만 원 | 농어촌 지원 강화 |
대구광역시 | 최대 150만 원 | 약 830만 원 | 일부 모델은 차등 지원 |
제주도 | 최대 200만 원 | 약 880만 원 | 탄소포인트제 연계 |
👉 최신 지자체 공고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 가능
무공해 차 통합누리집 바로가기
2025년 보조금 변경된 주요 내용
- 보조금 지급 기준 더 엄격해짐 – 실 주행거리 & 에너지 효율 중심 평가
- 차량 가격 상한선 유지 – 8,500만 원 초과 차량은 지원 제외
- 중복 혜택 제한 강화 – 기존 EV 차량 보유 시 감액 또는 제외될 수 있음
📌 “친환경차 구매이력” 있는 경우, 2년 내 재구매 시 일부 제한 적용 가능
보조금 신청 방법은?
-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에서 지역별 보조금 확인
- 원하는 차량과 모델 선택 (보조금 대상 여부 필수 확인)
- 판매점에서 ‘보조금 접수’ 대행
- 보조금 확정 후 차량 등록 및 출고
- 차량 수령 후 2년 이상 의무 보유 조건 적용
✅ 보조금 신청은 선착순 예산 소진 방식이기 때문에, 늦으면 혜택을 못 받을 수 있습니다.
보조금 받을 때 주의할 점
- 중고차는 보조금 지원 대상 아님
- 2년 내 차량 이전/폐차 시 일부 환수
- 개인 구매 시 1인 1대 원칙
- 법인 및 렌터카도 조건 다름 (제한적)
보조금은 ‘혜택’이지만, 동시에 ‘계약 조건’입니다. 꼼꼼히 따져보세요!
전기차 보조금 Q&A
Q. 보조금은 바로 통장으로 들어오나요?
A. 아니요. 차량 판매가에서 차감되는 방식입니다.
Q.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는 왜 큰가요?
A. 예산 편성 규모와 지역 정책 차이 때문입니다. 교통혼잡·환경 영향도가
반영됩니다.
Q. 보조금 받은 차량, 중고로 바로 팔 수 있나요?
A. 2년 이내 판매 시 보조금 환수 대상입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전기차 충전소 찾는 꿀팁
EV3 제원 주행거리 알아보기
EV4디자인특징 주행거리 알아보기